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IT

[파이썬]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독학 - Chapter 2 자료형 (1)

반응형

02-1 자료형과 문자열

 

자료(data) :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

프로그램 : 이러한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행위

 

'자료'와 '자료를 처리하는 것'의 구분

1.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사진이 자료이고, 이를 카메라에 저장하는 것이 처리.

2. 카카오톡으로 친구에서 사진과 함께 "여기 어때?"라는 메시지를 보냈다면 사진과 메시지가 자료이고, 이를 친구에게 전송하는 것이 처리.

3. 게임에서 경험치를 얻었다면 경험치가 자료이고, 경험치를 증가시키는 것이 처리.

 

자료형과 기본 자료형

 

자료형(data type) :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과 역할에 따라 구분된 자료의 종류. 대표적으로 문자열, 숫자, 불이 있음. 자료의 형식.

 

문자열(string) : 메일 제목, 메시지 내용 등. ex) "안녕하세요", "Hello World"

숫자(number) : 물건의 가격, 학생의 성적 등. ex) 52, 273, 103.32

불(boolean) : 친구의 로그인 상태 등. ex) True, False

 

기본 자료형을 조합해서 새로운 자료형을 만들 수 있음. ex) 숫자를 조합해서 날짜를 표현하는 자료형이 만들어짐.

 

자료를 알아야 하는 이유

 

자료를 자료형에 맞게 모으고, 처리 과정을 거처 차근차근 더 큰 자료형을 만들어 나가다 보면 거대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짐.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고 할 수 있는 자료의 의미를 아는 것은 물론, 그 쓰임새를 확실하게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함.

 

자료형 확인하기

 

파이썬에서 자료의 형식을 확인할 때 type( )함수(식별자 뒤에 괄호가 있으므로 함수)를 사용.

함수의 괄호 안에 자료를 넣으면 그 자료가 어떤 자료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 가능.

print(type("안녕하세요"))
<class 'str'>
print(type(273))
<class 'int>

str은 string을 짧게 표현한 것으로 문자열을 의미. int는 integer를 짧게 표현한 것으로 정수를 의미.

 

문자열 만들기

 

따옴표로 둘러싸 입력한 모든 것을 문자열이라고 생각하면 됨.

 

큰 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

print("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작은 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

print('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큰 따옴표를 붙이나 작은 따옴표 붙이나 마찬가지의 결과를 출력.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넣기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라는 큰 따옴표를 포함한 문자열을 만든다고 가정함.

큰 따옴표로 문자열을 만들면 보통 아래와 같이 만들게 되지만, 이렇게 하면 오류(SyntaxError : invalid syntax)를 발생시킴.

처음 ""을 아무 글자도 없는 문자열로 인식하고, "라고 말했습니다"라는 문자열로 인식함.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료(문자열)과 자료(문자열)를 단순하게 나열할 수 없다. 그래서 구문오류(Syntax Error)가 발생.

구문오류(Syntax Error) : 작성한 코드에 뭔가 문제가 있어서 아예 실행조차 되지 않는다는 의미. 

따라서 문자열 내부에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넣고 싶을 때, 큰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같이 사용하면 된다.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해 문자열 만들기

 

어떤 방법으로 문자열을 만들더라도 원하는 때에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쉽게 넣을 수 있는 방법은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 : 역슬래시(\) 기호와 함께 조합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문자를 의미. 한국 키보드에서는 원화 기호(\).

 

이스케이프 문자와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면 '단순한 따옴표'로 인식. 이 것을 활용하면 큰 따옴표 내부에 큰 따옴표, 작은 따옴표 내부에 작은 따옴표 사용 가능.

  - \" : 큰 따옴표

  - \' : 작은 따옴표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print('\'배가 고픕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배가 고픕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 \n : 줄바꿈

  - \t : 탭

print("안녕하세요\n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t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 : 역슬래시

print("\\ \\ \\ \\")
\ \ \ \

 

여러 줄 문자열 만들기

 

이스케이프 문자 중에 \n을 사용하면 줄바꿈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줄에 긴 코드를 입력하면 읽기 힘들 뿐더러 어떤 부분에서 줄바꿈이 일어나는지 \n를 하나하나 찾아보면서 확인해야 함.

파이썬은 여러 줄 문자열이라는 기능을 지원. 

 

여러 줄 문자열 :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를 세 번 반복한 기호.

print("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n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n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n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print("""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줄바꿈 없이 문자열 만들기

 

여러 줄 문자열로 코드를 작성하면 첫 번째 줄과 마지막 줄에 의도하지 않은 줄바꿈이 들어가게 됨.

줄바꿈을 하지 않고 코드를 입력하고 싶다면 역슬래시(\)를 사용함. '코드를 쉽게 볼려고 줄바꿈한 것이지, 실질적인 줄바꿈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용.

print("""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print("""\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다음 파이썬 관련 포스팅

[파이썬]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독학 - Chapter 2 자료형 (2)

반응형